?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보통 H.264의 영상을

 

HEVA로 변환할 예정입니다.

 

데이터가 너무 많아서 백업목적으로 용량을 다이어트하려구요하는데요.

 

HEVC의 H.265라 용량이 1/2이라는 말을 들었는데요.

 

그렇다면 H.264의 100Mbps영상을 H.265의 50Mbps로 인코딩해도 화질의 손상이 심하게 차이 나지 않는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Facebook Twitter Pinterest Kakao
  • ?
    JKyle 2020.01.15 14:39

    단순하게 답변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닙니다. 원본에 따라 다르고 인코딩 설정을 어떻게 했냐에 따라 다릅니다. 그리고 본인이 갖고 있는 하드웨어 사양이 어떠냐도 고려해야 합니다.

     

    원본과 비교해서 화질이 얼마나 떨어지는지 확인할 지표들은 많은데 이런 것들을 산출하는 방법은 무척이나 어렵고 각각이 갖고 있는 한계를 숙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어려운 문제가 됩니다. 그래서 결국 대부분 본인의 눈이 판단 기준이 되죠.

     

    인코딩 설정은 원본에 맞추어서 달라져야 하는데, 화질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면 퀄리티 모드(crf)로 인코딩하고, 용량이 판단 기준이라면 비트레이트 모드로 인코딩합니다. 이론적으로는 같은 비트레이트에서 퀄리티 모드가 1패스 비트레이트 모드보다 화질이 낫지만 퀄리티 모드 자체가 사전적으로 비트레이트를 계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실제 인코딩에 소요되는 시간은 퀄리티 모드가 약간 더 걸리는 게 보통입니다.

     

    원본에 따라서 허술한 원본일 경우 인코딩 설정과 필터 적용을 잘 한다면 H.264 영상을 HEVC으로 1/3까지 용량을 줄일 수도 있습니다. 물론 화질은 저하됩니다만, 사람에 따라 용인 범위 이내의 화질 저하가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역시 이렇게까지 용량을 줄이려면 반드시 투자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시간 또는 돈이죠.

     

    빠른 설정에서 HEVC라고 표시돼 있는 것은 CPU를 이용하는 x265 코덱인데 이 코덱은 CPU를 이용하는 소프트웨어 코덱이므로 본인이 갖고 있는 CPU의 성능(특히 스레드 수)에 인코딩 속도가 좌우됩니다. 최신의 고사양 CPU가 아니라면 H264(x264)에 비해 상당히 많은 인코딩 시간이 소요됩니다. (2시간짜리 FHD 영상이 인코딩에 10시간 이상 소요될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그래서 웬만하면 코어/스레드 수 많은 최신 사양의 CPU를 고려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당연하게도 돈이 듭니다.

     

    그리고 동일한 CPU라 하더라도 인코딩 시간이 더 걸리는 프리셋을 선택한다면 퀄리티 모드의 경우 평균적으로 용량이 더 줄어들게 되고 비트레이트 모드의 경우 평균적으로 화질이 좀 더 나아집니다. 결국 시간을 더 들여야 보다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얘기죠.

     

    인코딩 시간을 줄여보려고 그래픽 카드를 이용한 HEVC(NVENC)나 HEVC(AMF) 또는 HEVC(QSV) 코덱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각각 해당 그래픽 카드가 있어야 하고 용량 대비 최종 화질도 x265에 비해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그나마 NVENC가 낫다고는 하지만 이것도 GTX 1660 이상의 튜링 기반 그래픽 카드일 경우이고, 이 경우에도 인코딩 속도는 그 이전의 파스칼 기반에 비해 좀 떨어집니다. 어쨌든 결국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돈을 들여야 한다는 소리입니다.

     

    이런저런 사항을 따져봤을 때 인코딩을 하지 않고 차라리 추가적으로 저장 용량을 구입하는 것이 더 경제적일 수도 있습니다. 골치 아프게 인코딩에 대해 공부하느니 이게 더 나을 수도 있을 것 같네요. 구글 드라이브 무제한 플랜 같은 걸 선택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도 있습니다.

     

    어쨌거나 인코딩을 진지하게 고려하고 싶다면 실제 인코딩해 보면서 문제를 하나씩 해결하실 것을 권하고 싶네요. 그냥 카더라 식으로 얘기 듣는 건 별로 도움이 안 될 겁니다. 인코딩에 관한 기본 내용을 먼저 숙지하시고 도전해 보면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시기 바랍니다.

  • ?
    디지탈로그 2020.01.17 18:58
    댓글은 '좋아요' 혹은 '추천' 기능 없습니까? ㅎㅎ 완전 정답을 적어주셨네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소리를 4가지로 분리하는 샤나보컬리무버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Rina 2024.03.22 5109 4
공지 샤나인코더 통합 검색 기능 개선(샤나인코더 우측 상단에 있는 검색창을 사용해 보세요.) Rina 2021.09.30 19908 2
공지 자유게시판에서는 자유롭게 글을 작성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내용은 삭제돼요 Rina 2020.03.18 17583 5
공지 일반 [필독] 질문 전에 반드시 읽으세요!!! 3 file JKyle 2019.09.16 34320 7
공지 일반 [알림] 질문 먹튀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본문 변경 금지 23 JKyle 2018.10.12 30027 16
2049 질문 용량 줄이기를 위한 인코딩을 했을 때 오류 발생 2 sshen 2021.05.27 1314 0
2048 질문 같은 사양(cpu.ram) 에 그래픽카드만 약간 다른 pc 2대에서 인코딩 속도가 너무 차이가 납니다. 1 file 영이아빠 2021.02.11 1314 0
2047 질문 MP4 -> TS 파일 변환 관련 질문드립니다. 1 file 도움이필요합니다 2021.08.27 1311 0
2046 질문 인코딩 없이 영상들 합치는 게 가능한가요? 8 bobomama 2020.07.27 1311 0
2045 질문 내장자막이 있는 동영상을 인코딩하엿을시에 자막이 안나오는 현상 1 하이웨이스타 2021.11.19 1309 0
2044 질문 dvd 영화를 1080i 영상을 1080p로 인코딩 시 질문입니다 4 베페 2021.06.25 1309 0
2043 질문 자막 인코딩 오류 2 김영석 2021.06.14 1308 0
2042 자막 색상선택하는 방법없나요? 2 은별 2015.11.07 1308 0
2041 질문 인코딩 시작시 오류 (포타블 프로그램일때는 정상, 아닐때는 오류) 5 soohyun 2021.02.18 1306 0
2040 질문 원본 영상과 동일한 스펙으로 크롭만 진행하고 싶습니다 1 file 새sl 2023.09.26 1305 0
2039 질문 인코딩 후에 소리가 뒤로 밀리는 파일은 어떻게 인코딩을 해야 할까요? ㅠㅠ 3 최후느 2021.07.26 1305 0
2038 질문 오디오 인코딩 설정 중 비트레이트 셋팅에 대해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1 최강기 2022.07.28 1302 0
2037 질문 4k 도와주십시요ㅠ 2 무비홀릭 2022.01.18 1302 0
2036 안녕하세요 합치기에 대해 질문좀 드립니다 ^^ 1 가을낭만 2020.01.11 1302 0
2035 avi파일을 최대한 화질이 좋게 mp4로 인코딩 하고 싶습니다. 5 하핫 2017.05.23 1302 1
2034 질문 2패스 인코딩 대해서.. 질문입니다.. 2 kimera 2021.03.26 1300 0
2033 자막합치기 폰트 크기 변경 오류(?) 2 file 샤나좋아요 2020.02.03 1300 0
2032 영상을 음원파일로 추출 10 replay3314 2019.06.13 1300 0
2031 저사양PC에서 구동 문제 없는 코덱 추천 부탁드립니다 4 하늘비 2019.07.25 1299 0
2030 질문 아이돌 음방영상 깍뚜기 영상 없에는 방법좀... 1 승쓰 2021.09.26 1296 0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162 Next
/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