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008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예를들어.....어떤 ts파일 가수 라이브 동영상을

비트레이트 5000  h264 설정  등등 이러케 똑같이 값을 지정해 주고 변환한다 할시....

 

질문 1 =  mp4  avi  mkv  이 세가지로 하면...결과물이 똑같이 나오나요??

용량...화질....영상미 이런 결과물 이요

 

질문 2 =  만약 이 세가지가 각각 결과물이 조금식 다르게 나온다면

머가 어터케 결과물이 다르게 나오는지 설명 가르침을 주시면 감사히 배우겟슴당 ㅠ.ㅠ

 

질문 3 =  만약  엠피퍼로 하건  에이브이로 하건  엠케이로 하건  결과물 즉...용량  화질  영상미가

다 똑같이 나온다면  그 이유도 가르침을 주시면 감사히 배우겟슴당  ㅠ.ㅠ

 

PS....샤나를 모르거나!!  혹은 샤나가 안조타고 하는 사람들이 젤 불쌍!!!!!!!!

진심 불쌍 ㅠ.ㅠ 

 

아울러.... 오늘도 여러 고수님들께 한수 배우고 싶은 욕망 한가득... ㅠ.ㅠ

 

 

Facebook Twitter Pinterest Kakao
  • ?
    goku 오공 2018.09.01 15:50

    아참  한가지 빼먹엇는데영 

    확장자를 똑같은 TS로 해서 변환하는것도 입니다  설정값은 위 대로 똑같이 하고요

     

  • ?
    Melon 2018.09.02 01:41

    결과물은 똑같이 나옵니다. mp4 avi mkv ts 등등 컨테이너 포맷이라고 불리는데 얘네들은 단순히 영상을 담는 그릇 역할을 합니다.

    우리가 서로 다른 그릇에 물건을 각각 담는다고해서 물건 품질이 변하지는 않잖아요? (예외도 있지만...^^) 영상도 똑같습니다.

    영상 화질을 결정하는건 컨테이너 포맷이 아닌 비디오 코덱입니다. 비디오 코덱은 mpeg2 mpeg4 h264 h265 vp8 vp9 등 아주 다양하죠!

    mp4에 h264로 인코딩하든, avi에 h264로 인코딩하든, mkv, ts에 하든 비트레이트와 코덱이 동일하면 결과물 품질도 동일합니다.

    자세한 설명은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bfan24&logNo=10128721121 여기에 잘 나와있네요~

  • ?
    goku 오공 2018.09.02 07:59
    오오~~~ ^^ 오늘두 배우고 감미다 ㅠ.ㅠ 감격...
    그러쿤요...그건기냥 단순히 그릇 이고 코덱이 변수 군요...오오 또하나 배운기쁨 ㅠ.ㅠ
    오늘이 특히....그릇 이라고 표현하신게 무진장 표현력짱 이엇어요^^ 키햐
    그릇이라 하시니 ...단번에 이해가 팍팍^^
    으음 그래서 제가다시 저만의 표현력으로 고치자면 = 케이스 혹은 바구니 혹은 보따리 ㅋ ㅋ ㅋ
    보따리가 젤 맘에드는군요 푸하핫^^

    아무쪼록... 오늘두 한수 배우고 감미다 !! 진심 감사 ㅠ.ㅠ
  • ?
    포유 2018.09.05 21:38

      아 참고로 제가 초보이긴 한데요. 여기저기 영상을 알아본 결과 요즘 나오는 대부분의 영상들은 h264로 인코딩된 것들이 대부분이더라구요. 그래서 화질은 거의 동일한데 용량을 줄일 생각이 있다고 하면(물론 loss가 아주 없는것은 아니지만) hevc(h265를 말함) 퀄리티하면 됩니다. 기본 19로 하시면 되구요. 프레임 레이트나 오디오는 원본과 같게하고 오디오 코덱은 보통 AAC LC 혹은 AC3 씁니다. 그런데 문제가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죠.

     

    hevc(NVENC)나 hevc(qsv)를 사용하면 됩니다. 정말 폭발적으로 속도가 빨라집니다. 누구는 속도가 100배라는데 그정도는 아니구요. 20배 정도 빨라집니다. 1시간 영상 코딩하려면 대략 퀄리티는 20분 걸린다면... 이건 1분만에 끝내죠. 코덱 설정은 main auto<-이부분 모름 ㅠ_ㅠ. 프리셋 hq(high quality)로 하면 됩니다.

  • ?
    goku 오공 2018.09.06 20:06
    으음~~~ 호호^^ 캡쳐로 저장햇음요^^ 새로운 사실 이군요 매우 흥미로운 사실 감사드림다 캬아
    말씀대로 1시간 짜리가 꼴랑 1분 이라면....크아 대박^^ 그러면 저는 거의 대부분이 가수의 라이브나 10분이나 영상들
    위주니깐....저는그럼 30초 만에도 인코딩이 된다는 논리?? 흐음...이거이거 매우 흥미로운^^
    물론...컴터 사양이 빠방해야 그러케 되겟죠 ㅠ.ㅠ
    흥미로운 노하우 매우매우 감사드리며^^
    그럼 여기서 질문이 잇슴다

    질문 1 = 그럼 그냥 hevc 퀄리티로 하는거 보다 hevbc(nvenc qsv) 요러케 하면 = 속도는 빠른건 조은데
    화질이랑 용량 차이는 어케 되는죠?? 거의 삐까삐까 차이를 못느낄정도 인가요~~~ 아니면 차이가 어느정도 생기는지요?

    질문 2 = 만약 용량과 화질이 별 차이가 업다면...그럼 그냥 hevc로 하느느 사람들은 다 헛지랄 하는거고
    바보 이네요 그쵸?? ㅎ ㅎ 따지는게 아니구요 만약 알려주신대로가 사실이고 별 차이가 업다면
    그럼 그냥 hevc로 하는사람은 업어야 하는데.....그러케 하는분들도 많으니....
    참...머가먼지 답답하고 아이러니 해서요;;;;;

    진짜 만약....형님 말씀이 사실이고 정답 이라면....그냥 hevc로만 하는 사람들은 완전 불싼한거고
    헛지랄 하는건데.....아아....이거에 대해서 속이 뻥뚤리게 조언을 또 해주실 고수분 안게시나요 ㅠ.ㅠ
  • ?
    JKyle 2018.09.08 03:47
    HEVC 계열의 NVENC나 QSV로 하드웨어 인코딩하면 소프트웨어 인코딩(샤나에서는 그냥 'HEVC'라고 부르는 x265)할 때보다 화질이 뚝 떨어진다는 건 모두 다 아시는 상식인 줄 알았는데...

    네, 그렇습니다. 속도를 얻는 대신 화질을 잃죠. 특히 '등고선 현상(gradient에서 계조가 무너지는 color banding)'은 아주 눈에 띄게 나타납니다. 그밖에 깍두기 현상(blocking)이나 뭉개짐(blurring)이 나타나는 경우도 종종 있구요. 그런 이유 때문에 화질을 중시하는 분들은 x265만 고집하시는 분들도 있죠.

    속도는 좀 죽이더라도 화질을 어떻게든 좀더 높여 보려면 1) 인코딩 설정을 화질 쪽으로 맞추고 2) 비트레이트를 높이는 두 방법밖에는 없습니다. NVENC에서 1)번의 노력의 결과로 만든 프리셋이 https://shana.pe.kr/shanaencoder_preset/49294 여기에 있구요, 2)번의 경우 그냥 HEVC으로 할 때보다 최소 1.5배 정도 높은 비트레이트를 줘야 그나마 볼 만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물론 개인차는 있지요.)

    근데 이것도 문제가 있는 게, 1)번의 경우 하드웨어 인코더들이 제공하는 옵션이 별로 없다는 단점이 있고, 2)의 경우 비트레이트를 그렇게 높게 줘도 안 잡히는 문제들이 생긴다는 겁니다.

    뭐 늘 그렇듯 모든 게 다 좋은 선택지가 어디 있겠습니까? 난 꼭 화질은 좋은 거 봐야 한다 하는 분들은 시간을 희생하셔야 하는 거고, 난 시간 없다 하는 분들은 돈(그래픽 카드)과 화질을 희생하셔야 하는 거고... 물론 돈이 제약이 없으시다면 굳이 본인이 인코딩하실 필요가 없이 남들이 해놓은 거 누리시면 되는 거고... 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소리를 4가지로 분리하는 샤나보컬리무버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Rina 2024.03.22 5110 4
공지 샤나인코더 통합 검색 기능 개선(샤나인코더 우측 상단에 있는 검색창을 사용해 보세요.) Rina 2021.09.30 19917 2
공지 자유게시판에서는 자유롭게 글을 작성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내용은 삭제돼요 Rina 2020.03.18 17585 5
공지 일반 [필독] 질문 전에 반드시 읽으세요!!! 3 file JKyle 2019.09.16 34326 7
공지 일반 [알림] 질문 먹튀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본문 변경 금지 23 JKyle 2018.10.12 30033 16
2729 HEVC 인코딩시 오디오쪽 스트림 카피(DTS)가 이상합니다. 3 file 자유서기 2017.04.01 807 0
2728 HEVC 인코딩시 튜닝에 있는 옵션들은 어떤효과가 있나요? GooRM 2018.04.19 791 0
2727 HEVC 인코딩시 화면이 180도 회전합니다.. 4 칠리 2016.10.02 896 0
2726 HEVC 인코딩시 화질 및 용량 2 file 왕관앵무새 2017.10.01 2241 0
2725 HEVC 인코딩에서 레벨을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은 따로 없나요? 1 file longlife85 2020.01.06 1196 0
2724 질문 HEVC 인코딩의 P7, SLOW 프리셋 차이가 궁금합니다 2 TOME 2021.10.09 1718 0
2723 질문 hevc 인코딩후 동영상정보에서 색공간 정보가 사라집니다. 3 file heka1121 2022.08.20 712 0
2722 hevc 질문 6 Melon 2016.12.15 655 0
2721 질문 HEVC 코덱 Turing Nvenc Slow 프리셋이 화질 좋을까요 CPU Medium 프리셋이 화질 좋을까요? 2 TOME 2022.03.29 1538 0
2720 HEVC 코덱(H.265) 에서 AVC1(H.264) 로 2차 인코딩 하려고합니다. 2 님덕내탓 2018.07.01 2014 0
2719 HEVC 코덱은 프리셋 고급설정이 없나요? 1 OverMind 2015.01.26 1235 0
2718 HEVC 퀄리티 모드에서 최대 비트레이트 제한하는 방법은 없나요? 2 Melon 2018.09.25 1419 0
2717 HEVC 프리셋 Intel 7700 CPU 인코딩 속도좀 알수 있을까요? 3 file eitetu 2017.04.24 1100 0
2716 hevc 형식의 동영상 인코딩시 사이즈 변경 1 릭클 2015.08.10 788 0
2715 질문 hevc(amf) 쓰시는 분들, 아드레날린 최신버전에서 pcie 3.0 제대로 돌아가나요? 1 hisk 2021.04.08 860 0
2714 질문 HEVC(AMF) 인코딩을 하면 비트레이트가 지멋대로 올라갑니다. ssdte23 2020.08.02 1081 0
2713 질문 hevc(amf)코덱 인코딩시 팟플레이어 탑색바썸네일이 안뜨네요 섀도오브데빌 2023.08.23 565 0
2712 HEVC(NVENC) 10bit 6 mak 2017.04.03 1135 0
2711 HEVC(NVENC) 8bit 인식을 10bit 인식하는법! 1 skySiriusBlack 2019.04.18 1287 0
2710 HEVC(NVENC) 로 960*540 인코딩하면 꼭 544 픽셀로 나오네요? 아브 2018.04.01 341 0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62 Next
/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