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899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저는 주로 핸드폰에 영상을 넣어서 봐서 480p에 비트레이트 2000에 프리셋은 superfast로 인코딩하는데요

 

이정도 설정이 이노딩 속도도 빠르고 핸드폰에서 보기엔 괜찮더라고요.

 

원래는 baseline으로 하다가 high가 좋다고해서 high로 하고 있긴 한대

 

제가 하는게 고화질 설정은 아니라서 별차이가 없을거 같은데 차이가 있나요??

 

high로 해도 핸드폰에서 재생은 잘 되던데

 

그리고 인코딩속도도 차이가 있나요?

 

 

Facebook Twitter Pinterest Kakao
  • ?
    샤나디코더 2017.05.18 05:29

    https://ko.wikipedia.org/wiki/H.264/MPEG-4_AVC#.ED.94.84.EB.A1.9C.ED.8C.8C.EC.9D.BC.EA.B3.BC_.EB.A0.88.EB.B2.A8

    https://namu.wiki/w/H.26x#s-6.2

     

  • ?
    블랙조커 2017.05.18 15:47

    감사합니다. 그럼 480p 비트레이트2000이면 main으로 하나 high로 하나 상관이 없는건가요?

     

  • ?
    JohnMunga 2017.05.18 15:57

    Baseline 프로파일은 H264 규격이 발표된 2003년 당시에 모바일 기기에서의 재생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저사양 프로파일입니다.

    당연히 이때 당시의 모바일 기기란 지금의 스마트폰이 아닌 흔히 말하는 폴더폰, 2G 폰이었지요.

    때문에 Baseline 프로파일은 인코딩 옵션에 제약이 많고 쏟아붓는 비트레이트에 비해 화질 향상이 눈에 띄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실제로 애니플러스에서 제공되는 VOD가 Baseline 프로파일을 쓰는데 격렬하게 움직이는 구간에선 비트레이트가 블루레이 수준을 넘어가기도 하죠 --;;)

     

    High는 블루레이 포맷, 소장용을 목적으로 한 고해상도 전용을 목적으로 한 프로파일이므로 상당히 높은 사양을 요구하지만 이건 2003년 당시의 얘기고

    지금은 블루레이 원본 파일도 하드웨어 가속을 이용하면 휴대폰에서 돌릴 수 있을 정도로 기기의 성능이 그때 당시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발달한 시대입니다.

     

    요즘에는 H264가 제대로 재생되지 않는 기기가 이상할 정도로 H264가 대중화 된 상황이니 왠만하면 High 프로파일을 쓰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다만 High10은 High와는 달리 컬러 포맷을 10비트로 인코딩 해버리는데 아직까진 10비트 영상 재생을 제대로 지원하는 기기가 많지 않고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하는 기기는 손에 꼽을 정도며 왠만한 기기는 소프트웨어 가속으로 돌리는데 끔찍하게 버벅이고 배터리 잡아먹는 괴물을 보실 겁니다)

    또 설령 10비트 재생을 제대로 지원해도 모니터나 디스플레이가 10비트 출력을 제대로 지원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시피 하니

    소장용으로 인코딩해서 컴퓨터에서 재생하실 목적이 아니면 High10은 왠만하면 쓰지 않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더 많은 컬러를 사용하는 만큼 인코딩 시간도 배로 걸립니다.

  • ?
    블랙조커 2017.05.18 18:07
    감사합니다!! high랑 main은 차이가 많나요? 인코딩속도 차이가 없으면 high로 하겠는데 속도차이가 있는거 같기도하고 돌려봐도 감이 안와서 ㅠ
  • ?
    JohnMunga 2017.05.19 14:22
    Baseline에서 쓸 수 없는 B 프레임이라던가 CABAC을 사용할 수 있는건 Main이나 High나 마찬가지고,
    이 둘의 차이점은 색차 성분인 Cb와 Cr의 양자화 제어가 독립되어 있다는것과 -> https://ko.wikipedia.org/wiki/YCbCr
    흑백(Monochrome)영상으로 인코딩 할 수 있다는 것,
    매크로블록 사용 시 약간의 차이가 있다는것 빼고는 그다지 차이는 없는것 같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H.264/MPEG-4_AVC#Profiles
    각 프로파일 별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자세하게 비교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엔 Main과 High의 인코딩 시간 차이는 Baseline과 Main, Baseline과 High를 비교할 때만큼 차이가 날 것 같진 않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소리를 4가지로 분리하는 샤나보컬리무버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Rina 2024.03.22 5109 4
공지 샤나인코더 통합 검색 기능 개선(샤나인코더 우측 상단에 있는 검색창을 사용해 보세요.) Rina 2021.09.30 19905 2
공지 자유게시판에서는 자유롭게 글을 작성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내용은 삭제돼요 Rina 2020.03.18 17583 5
공지 일반 [필독] 질문 전에 반드시 읽으세요!!! 3 file JKyle 2019.09.16 34320 7
공지 일반 [알림] 질문 먹튀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본문 변경 금지 23 JKyle 2018.10.12 30025 16
189 질문 하위폴더 구조 그대로 엔코딩 파일 생성 안될까요? 2 아우터 2023.11.17 544 0
188 질문 자막 설정문의 드립니다. file 새우깡 2023.11.20 518 0
187 질문 동영상 인코딩작업된것인지 확인방법이 있나요? 4 아우터 2023.11.21 661 0
186 질문 정렬 목록을 추가가능한가요 급발진금지 2023.11.22 360 0
185 질문 자막이 회전 되어 입혀지는 문제 2 file c137 2023.11.23 543 0
184 질문 동영상을 인코딩해서 오디오 품질을 바꿧는대 4 새침한 토깽이 2023.11.23 646 0
183 질문 특정 조건을 넘지못하면 원본유지하는 조건설정 기능추가는 안될까요? saturday_encode 2023.11.23 535 0
182 질문 h264_nvenc 사용 시 영상 사이즈를 변경하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1 러기늬 2023.11.24 747 0
181 질문 59.94 -> 23.976 중복 프레임 제거하는 법 타임 2023.11.25 772 0
180 질문 m2ts 파일 인코딩시 내장자막 함께 인코딩 ARIB B24/B37 file rhmave 2023.11.26 502 0
179 질문 NVENC 인코딩시 1070->4060 으로 가면 속도가 빨라지나요? 6 이메디나 2023.11.26 1830 0
178 일반 av1 으로 nvenc 하고픈데 언젠가 되겠죠 1 wet 2023.11.28 1016 0
177 일반 좋은 프로그램 감사합니다. 1 telnet 2023.11.29 456 0
176 일반 감사 인사 하려고 가입했어요. kanekr 2023.11.30 536 0
175 질문 LG TV 2015년도 55LF5600 변환 문의 2 헌터top 2023.11.30 636 0
174 질문 드래그앤 드롭 다들 되시나요? 9 file 아우터 2023.11.30 859 0
173 질문 인코딩을 하면 미디어 작성날짜가 사라집니다. file 아우터 2023.12.01 573 0
172 질문 mkv파일을 mp4파일로 스트림 복사 2 뚀료룡 2023.12.04 934 0
171 질문 파일 5개이상 동시 인코딩 못하나요? 4 file 유키링 2023.12.06 1018 0
170 질문 한 동영상을 같은 조건으로 코덱만 다르게 해서 인코딩했습니다 hevc 코덱에 대한 질문이있어요 5 새침한 토깽이 2023.12.06 988 0
Board Pagination Prev 1 ...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 162 Next
/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