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가 주로 하고자 하는 건 파일형식 변경과 키프레임 변경, 자막 입히기 등이거든요.

 

그래서 화질이나 음질은 최대한 유지되도록 인코딩하고 싶은데

 

파일 정보 탭에 나온 비트레이트, 해상도, fps를 동일하게 주면

 

용량은 비스무리하게 뜨던데

 

화질이 그대로 유지되는 건지가 궁금합니다. (100%는 아니더라도 95% 이상)

 

 

 

참고로 저는 설정에서 퀄리티나 퀸타이저가 아닌 '비트레이트'를 사용 중이고

 

키프레임과 mp4로 인코딩하다 보니 오디오 코덱을 AAC로 바꾸는 것 말고는  

 

나머지는 원본을 그대로 유지시키고 있습니다.

 

그리고 2패스나 OpenCL 가속은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사실 이게 어떤 기능인지도 좀 궁금해요.)

 

 

 

 

 

한가지 더 사소한 질문!!

 

asf 형식으로 된 wmv 파일은 위와 같은 설정을 했을 때

 

가끔씩 용량이 1.5배~2배 이상 뻥튀기 되는데... 이건 왜일까요? 

 

그리고 이 경우에 화질을 유지하려면 울며 겨자먹기로 그냥 설정을 따라가야 하나요?

 

아님 비트레이트를 좀 줄여서 용량을 비슷하게 맞춰줘도 화질이 유지되나요?

 

 

 

Facebook Twitter Pinterest Kakao
  • profile
    능소화 2017.04.03 10:46

    제가 주로 하고자 하는 건 파일형식 변경과 키프레임 변경, 자막 입히기 등이거든요.

    그래서 화질이나 음질은 최대한 유지되도록 인코딩하고 싶은데

    파일 정보 탭에 나온 비트레이트, 해상도, fps를 동일하게 주면

    용량은 비스무리하게 뜨던데

    화질이 그대로 유지되는 건지가 궁금합니다. (100%는 아니더라도 95% 이상)

     

    인코딩은 한번 거치게 되면 화질 저하는 생기게 됩니다.

    음질또한 마찬가지구요...

    그러나 음성 영상을 압축하여 재인코딩하는것이니까요.

    하지만 최대한 화질저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같은 비트레이트나 더 많은 비트레이트를 투자 해야 될수도 있습니다.

    (인코딩 된 파일을 재인코딩시 같은 비트레이트를 주었을경우 -- 즉, 용량이 더 커질수도 있습니다)

    ===============================================================================

    참고로 저는 설정에서 퀄리티나 퀸타이저가 아닌 '비트레이트'를 사용 중이고

    키프레임과 mp4로 인코딩하다 보니 오디오 코덱을 AAC로 바꾸는 것 말고는  

    나머지는 원본을 그대로 유지시키고 있습니다.

    그리고 2패스나 OpenCL 가속은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사실 이게 어떤 기능인지도 좀 궁금해요.)

     

    Hthoreau 님 답변중에 적당한 답변이 있어 그대로 옮깁니다.
    HThoreau 2015.03.21 16:56
    이 문제는 간단히 테스트 해보면 됩니다..
    먼저 원하는 CRF수치로 인코딩한 후에 출력 영상의 평균 비트레이트를 그대로 적용해서
    같은 설정 비트레이트 2pass모드로 인코딩하면 인코딩 설정은 같고 인코딩 모드만 다른
    파일이 나오겠죠..

    제가 테스트하기에는 거의 비슷하게 나오는듯합니다..
    (약간의 수치 차이는 있는데 육안으로 차이가 있는지는 프레임 별로 비교하지 않아서
    확신하긴 어렵네요)

    아주 미세하게 CRF쪽이 좋게 나오는듯한데..
    본인이 사용하기에 편한 방법을 사용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1pass로 하려면 무조건 CRF로 하는걸 추천하긴해도 자신이 원하는 적절한 수준의
    용량(비트레이트)로 제한하기 어렵고 때때로는 뭐하러 인코딩 했을까 싶을 정도로
    높게 나오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시리즈물 여러편을 용량에 맞춰 인코딩하려는 의도라면
    2pass 비트레이트가 더 유리한 건 분명합니다..

     

    궂이 비트레이트로 인코딩 하실 이유가 없는 듯 한데 꼭 비트레이트 인코딩을 해야되는

    이유가 있는지 궁금해지네요 ^^;

    ===============================================================================

    한가지 더 사소한 질문!!

    asf 형식으로 된 wmv 파일은 위와 같은 설정을 했을 때

    가끔씩 용량이 1.5배~2배 이상 뻥튀기 되는데... 이건 왜일까요? 

    그리고 이 경우에 화질을 유지하려면 울며 겨자먹기로 그냥 설정을 따라가야 하나요?

    아님 비트레이트를 좀 줄여서 용량을 비슷하게 맞춰줘도 화질이 유지되나요?

     

    ASF(Advanced Systems Format)

    윈도우 미디어 비디오(Windows Media Video, WMV)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미디어 포멧방식의 코덱입니다.

     해당 파일 또한 인코딩이 되어 있거나 압축이 되어 있는 파일이므로 비트레이트로 재인코딩시 용량이 불어날수도 있지만

    재압축하면 대부분 용량은 적당한 선에서 타협을 볼수도 있습니다.

     

     

     

  • ?
    고슴도치 2017.04.03 10:58
    와 진짜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_ _)

    비트레이트 모드를 사용하던 이유는 그냥 출력 예상 용량을 알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인코딩 처음해보는 거의 컴맹이기도 하고,
    컴퓨터도 i3로 고사양이 아니라서 한번에 최대한 실패 안 하려고 했던 거에요.

    퀄리티 모드로 한다면
    (기술상 X, 눈으로 O) 화질 유지하면서 용량 증가 거의 없게 하려면
    수치값을 어느정도 주는 게 좋을까요?
    (1920*1080의 기본 모니터 사용 중이에요. 고화질TV 등으로 볼 일은 없습니다.)
  • profile
    능소화 2017.04.03 11:43

    비트레이트로 인코딩 하기 보다는 crf 로 인코딩하신후 퀄리티 값을 조절해가며 원하는 용량 및 시간을

    맞추시는게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영화의 경우 보통 19정도로 많이 하긴 합니다.

    h264인지 HEVC 로 하실것인지 선택을 하신후 값을 조절해 보시는것이 현명하신 판단이라 생각됩니다.

    1pass 같은 경우는 비트레이트로 인코딩 하시는것보다 퀄리티나 퀸타이저 인코딩이 깍두기 현상이 줄어들수 있습니다.

  • ?
    고슴도치 2017.04.03 12:08
    컴퓨터와 갤럭시 휴대폰 정도에서만 볼 생각인데
    HEVC로 해도 호환성 문제 없으려나요?

    그리고 코덱 설정은 어떻게 하는 게 좋은가요?
    컴이 구려서 h.264로 high에 very slow로 퀄리티 20 눌렀더니 0.33x 나오네요 ㅠ.ㅜ
  • profile
    능소화 2017.04.03 12:13
    아직은 S7에서만 hevc 지원이 된다고 하는것 같습니다.
    컴퓨터로는 지원이 되고 이상없이 재생이 됩니다.

    코덱설정
    컴이 구린게 아니라 high very slow 20하시면 당연히 느릴수 밖에 없습니다. ^^
    fast 정도로만 해도 화질은 어느정도 타협을 보실수 있을듯 싶습니다.
  • ?
    고슴도치 2017.04.03 12:56
    허.. 그렇군요 ㅋㅋ
    그럼 제 목적 정도에 맞게 (비슷한 용량 + 눈으로 볼때 화질 저하 적게)
    HEVC 퀄리티 모드 설정 좀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코덱 설정과 퀄리티 수치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 profile

    HEVC 인코딩 설정하여..

    프리셋 파일 올려드립니다. 사용하시면서 설정값은 조절해가며 사용하시면됩니다.

     

    다운로드  :    HEVC_디인터_오버레이자막_AAC.xml

     

  • ?
    skyarc 2017.04.03 21:34
    해상도 740 * 480 HEVC코덱으로 인코딩 한 영상

    엑스페리아XC에서 MX플레이어로 재생 확인했습니다. 잘 되더군요.
    CPU는 스냅드래곤650인데 이 이상의 사양폰에서는 잘 되지 않을까 합니다.
  • profile
    능소화 2017.04.04 02:37
    아..네 즐인코딩 하세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소리를 4가지로 분리하는 샤나보컬리무버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Rina 2024.03.22 5086 4
공지 샤나인코더 통합 검색 기능 개선(샤나인코더 우측 상단에 있는 검색창을 사용해 보세요.) Rina 2021.09.30 19874 2
공지 자유게시판에서는 자유롭게 글을 작성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내용은 삭제돼요 Rina 2020.03.18 17558 5
공지 일반 [필독] 질문 전에 반드시 읽으세요!!! 3 file JKyle 2019.09.16 34260 7
공지 일반 [알림] 질문 먹튀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본문 변경 금지 23 JKyle 2018.10.12 29869 16
905 용량이 너무 커져버립니다... 인코딩 파일 올려 불께요.. 4 file 늙은돼지 2017.04.17 447 0
904 영상에 자막만 입힐려고 하는데 용량이 너무 커져버립니다... 3 file 늙은돼지 2017.04.17 735 0
903 샤나 인코더 자체가 실행이 안되요, 4 muru 2017.04.16 285 0
902 인코딩할때 컴퓨터 본체에서 열이 발생하는데요 5 스마일맨 2017.04.15 387 0
901 시간만큼 나눠주는 기능 있나요? 5 착한동구 2017.04.15 262 0
900 스트림복사 자막입히기 2 하리냥 2017.04.15 928 0
899 라이젠은 인코딩 시간 얼마나 걸리나요??? 7 wet 2017.04.15 1108 0
898 인코딩 질문입니다. 어렵네요. 8 file 더듬더듬 2017.04.14 959 0
897 한영자막에서 영자막 뺄 순 없나요? 1 file 나이루 2017.04.14 816 0
896 인알못 질문드립니다. 5 뉴비 2017.04.14 559 0
895 인코딩 한번으로 원하는 영상물과 동시에 메타데이터도 입력하고 싶습니다. 1 다작은사람 2017.04.13 648 0
894 HD 영상 인코딩에서의 h264 코덱 설정 1 고슴도치 2017.04.13 915 0
893 AMD사의 플루이드모션(프레임 보간 기술) 24fps, 30fps -> 60fps 재생, 인코딩 질문 3 뉴비 2017.04.13 1195 0
892 몇 가지 질문... 8 고슴도치 2017.04.13 800 0
891 정보 [자막] 색상코드표 입니다. 1 능소화 2017.04.13 7099 0
890 자막 컬러 바꾸는방법 4 file 궁금한게많아 2017.04.13 1639 0
889 샤나 4.71 실행하면 v3가 뜨면서 실행이 안되네요 2 file 궁금한게많아 2017.04.13 408 0
888 정보 윈도우 / MS AMD 라이젠 프로세서 전용 '윈도우10 전원 관리 옵션' 배포 2 file 능소화 2017.04.12 5453 0
887 동일한 프리셋에서 버전별로 파일이 깨지네요 5 file 초보인코더 2017.04.12 252 0
886 자막이 안나옵니다 2 스마일맨 2017.04.12 440 0
Board Pagination Prev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 162 Next
/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