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016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가 영상들 용량줄이기를 하고있어요

mp4 형식으로 하는게 가장 문안하다고 들어서 

그렇게 비트레이트 조절해서 하고있는데요

 

작업시간이 꽤 걸려서요 이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일수 있게 되려면

최소 어느정도 컴 사양이 되야하는지 그런게 있을까요?

 

조언해주실수 있으신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Facebook Twitter Pinterest Kakao
  • ?
    lilililililililil 2022.03.28 22:42

    여기는 이런것 질문하는게 아니지만 사양이 높을수록 속도가 빨라지겠지요.....

    최신 그래픽 장치에 최신 CPU이면 속도가 높아질겁니다

    메모리 용량은 약 8GB이면 좋습니다(권장16GB이상)

    운영체제 특정상 메모리 용량 많이 필요할수있습니다.

    윈도우10 부터는 최소 8GB 권장 16GB입니다.

  • ?
    엘리시움스 2022.03.29 02:05

    여기는 이런것 질문 하는 공간이 아닙니다. 퀘xx존이라던가 다른쪽 가셔요.

  • ?
    kpneox 2022.04.01 04:03

    CPU 성능을 늘리거나 GPU의 하드웨어 가속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어느정도 늘려야 하는가는 자신이 사용중인 CPU나 GPU, 그리고 인코딩 환경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어쩌면 12코어 16코어 같은 고가의 CPU를 사용해야 할 가능성이 있으니까요.

  • ?
    aplo 2022.06.25 15:13

    mp4는 컨테이너(껍데기)이고, 보통 용량을 줄일때에는 시중에 유통되는 H.264(AVC)타입 영상을 H.265(HEVC)로 인코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코딩 방법은 크게 소프트웨어 인코딩(CPU이용)과 하드웨어 가속(그래픽카드=GPU)을 이용하는 경우 두가지가 있고요. 둘을 비교하면 소프트웨어 인코딩은 상대적으로 느린편이지만 비슷한 옵션을 줬을 때 화질이 더 나은 편이고, 하드웨어 인코딩은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릅니다. 전력소모도 적은 편이고요.

     

    소프트웨어 인코딩은 느린 편이지만 고성능 CPU(Intel 12900K, AMD 5950X 등등)를 이용하면 어느정도 극복할 수 있습니다. 코어 숫자가 많고 클럭이 높은 제품을 선택하시면 되고요.

     

    하드웨어 인코딩은 어떤 그래픽카드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세부적으로 나뉩니다. AMD, NVIDIA, INTEL 3가지 칩이 있고, 개중에선 NVIDIA쪽이 옵션이 잘 되어있는 편입니다. 그래픽카드의 인코딩 성능은 코어가 아닌 인코딩 칩의 성능에 따라 좌우됩니다.

     

    NVIDIA의 인코딩칩 NVENC를 예로들면, 2000번대(튜링)에서 3000번대(암페어)로 변화하면서 인코딩 칩 자체는 업그레이드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현재 RTX 3090에 탑재된 칩과 GTX 1650 DDR6에 탑재된 칩이 같으며(7세대 NVENC), 인코딩 성능도 똑같습니다.

     

    1000번대(파스칼)에 탑재된 6세대 NVENC는 B Frame 기능이 없기때문에 7세대 칩보다 같은 화질에서 용량이 크지만, 1080Ti, Titan X, Titan XP, Titan V 같은 그래픽카드들은 칩셋이 2~3개씩 박혀있어서 인코딩 속도가 훨씬 빠릅니다.

     

    정리하면 소프트웨어 인코딩을 원하실 경우 그래픽카드는 낮은성능 카드를 구매해도 상관없고, 최대한 CPU 성능을 높이면 됩니다. 하드웨어 인코딩을 원하시면 위 설명과 아래쪽 링크에 있는 표를 참조해서 그래픽카드를 고르시면 됩니다.

    https://developer.nvidia.com/video-encode-and-decode-gpu-support-matrix-new

  • ?

    인코딩 머신을 구매하면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소리를 4가지로 분리하는 샤나보컬리무버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Rina 2024.03.22 5093 4
공지 샤나인코더 통합 검색 기능 개선(샤나인코더 우측 상단에 있는 검색창을 사용해 보세요.) Rina 2021.09.30 19881 2
공지 자유게시판에서는 자유롭게 글을 작성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내용은 삭제돼요 Rina 2020.03.18 17568 5
공지 일반 [필독] 질문 전에 반드시 읽으세요!!! 3 file JKyle 2019.09.16 34284 7
공지 일반 [알림] 질문 먹튀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본문 변경 금지 23 JKyle 2018.10.12 29993 16
190 질문 같은 조건에서 인코딩 속도가 달라지는 것에 관한 질문 1 Laon 2020.09.10 1035 0
189 질문 영상에 자막 입힐때 화면 안에 넣는방법좀 알려주세요.. 4 file 늙은돼지 2020.09.10 1044 0
188 질문 비디오 퀄리티와 비트레이트에 관한 질문 2 Laon 2020.09.09 3083 0
187 질문 crf 22,23 medium, slow 중에 어떤 조합이 나을까요? R7-572 2020.09.07 988 0
186 질문 빗질 현상(combing), 잔상(overlapping) 수정해봤습니다 (영상 첨부) 1 아삭한사과 2020.09.05 1172 0
185 질문 강의용 영상의 오디오 수정에 대하여 1 단지먼지 2020.09.04 785 0
184 질문 MPEG-PS 먹스 속도 개선 가능할까요? 1 실버닌자 2020.09.03 626 0
183 질문 영상이 약간 끊기는데 비트레이트를 높여도 해결이 안 됩니다 10 아삭한사과 2020.09.02 1438 0
182 질문 인코더 오류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2 비더레즈 2020.09.02 1296 0
181 질문 인코딩하면 계속 오류 납니다 3 꼬마에몽 2020.09.01 1360 0
180 질문 계속 오류가 납니다. 3 마왕 2020.09.01 1194 0
179 질문 비트레이트 모드 인코딩시 제안... 5 유토짱 2020.08.31 2152 0
178 질문 질문 드립니다. "H264 minterpolate 59.94 fps (Video Only).xml" 필터를 이용할 때 bps 조절은 전혀 불가능한건가요? livrvr360 2020.08.30 760 0
177 질문 퀄리티를 제하고도, 코덱 설정 중 프리셋(medium, veryfast 등)에 따라 화질이 달라지나요? 4 bobomama 2020.08.29 2637 0
176 질문 HEVC mp4형식파일을 h.264 mp4 파일로 변환하려하는데 설정값 3 이나라 2020.08.29 1975 0
175 질문 아래 삼성티비 질문입니다. 4 file Daniel8998 2020.08.27 1090 0
174 질문 길이가 고장난 MP4 동영상 수정할 수 있을까요? 9 미루나무 2020.08.26 2177 0
173 질문 핸드폰 영상 같은ㄴ거 인코딩을 하려는데요,, 3 강대봉 2020.08.26 873 0
172 질문 프레임 더블링 하는법 글을 봤습니다. 몇가지 질문 받아주실수있을까요? 2 file 나의아어다 2020.08.25 2158 0
171 질문 샤나론 tbn 정보 확인은 물론 변환도 불가한가요? 3 bobomama 2020.08.24 1043 1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51 Next
/ 51